- 영문명
- The Host: Study of Visual Secial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정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5호, 321~3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Host is a Korean visual special effects film, which also contains elements of fantasy, comedy and drama films. The film was directed by Bong Joon-ho, who also co-wrote the screenplay. While the budget was among the largest ever in a Korean production, by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more modest. The director had to work around the budget-imposed restrictions, especially when it came to visual special effects. There is arguably no better showcase for a visual effects studio than a giant monster trashing around in a city. The unique creature was conceived by director Bong and visualized by designer Jang Hee-chul. Based on detailed artwork, a maquette was then created at Weta Workshop, New Zealand, and scanned at Gentle Giant Studios in Los Angeles. To create 125 vfx shots of the movie, the director turned to The Orphanage in San Francisco. The company set up a team led by veteran VFX supervisor Kevin Rafferty. For interaction between the creature and the actors, Rafferty and his team employed different methodologies. Digital doubles of the main actors were used in medium to wide shots. For medium to close-up shots, the crew filmed the actors or their stunt double. Rigs and harnesses were employed for shots where the creature was grabbing a character. The rigs were designed so that either the CG creature would fully cover the rig, or there was some rig/wire removal necessary for the plate, or both. For a handful of close-up shots in which the creature regurgitates a character, the crew shot the action with a full size practical head puppet built by John Cox’s Creature.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ose who study in the visual special effects field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케이프 피어>의 리메이크 영화 비교 연구
- 특집 1: 한국영화와 역사학
- 영화의 역사화 범주 가능성에 관한 연구
- 특집 2: 영화서사 및 스타일 분석
- 일제 강점말기 '영화신체제'와 조선영화(인)의 상호작용 연구
- 북한식 사회주의 형성기 북한영화 연구(1958~1966)
- 영화 <꽃잎>과 <화려한 휴가>의 영상재현과 대중의 기억이 구성하는 영화와 역사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다르덴 형제 영화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기호계의 <향수>, 아브젝시옹의 파랑
- 황석영, 임상수, 그리고 <오래된 정원>
- 이미지 없는 목소리, 아쿠스메트르에 대하여
- 여공, 스크린 재현의 정치학
- 불교영화 <만다라>, <화엄경>,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의 불교성 연구
- 한국형 블록버스터 <괴물>의 시각특수효과(VFX)에 대한 연구
- D. 보드웰 어프로치에 의한 서사연구
- 앨프레드 히치콕의 관음증 삼부작
- <베오울프>의 디지털 액터, 리얼리즘, 그리고 사이보그
- 한국영화 배급시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