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ertain Aesthetical Experiment in the Rotoscoping Animati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병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40호, 7~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otoscoping is an animation technique in which animators trace over live-action film movement, frame by frame, for use in animated films. In the early years of film history, it was used in the cell animation. Nowadays digital technology has used rotoscoping technique again. I think rotoscoping animation made digital technology provoke some issues about digital cinema and image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So I use Richard Linklater's (2000), (2006), Ikhwan Choi's (2008) for instance of rotoscoping animation. Process of making a rotoscoping animation starts from the shooting an action by camera. After that the computer captures the image from the footage and trace over the contour. In this process the objects in the real world disappear and the new kind of images come out. The indexicality which connects between the real world and image has weakened. And rotoscoped images look like a images of paintings. So, in spite of being shot by camera ruled by linear perspective, rotoscoped images look flat. The flatness of image show the nature of the digital image which take the no space in the real world. The flatness of images means that media like rotoscoping animation has the opacity. The media doesn't show the real directly to the spectator. Instead it show the form which reflects the media itself. The appearance of the new kind of technology awakes the revival of the old. So we should judge the value of the new technology in the media by how to use. It would be progressive or retrospective. Images of rotoscoping animation are the touchstones of the new media and the images in the digital cinem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로토스코핑 이미지가 제기하는 쟁점들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