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와 自治
이용수 57
- 영문명
- Freedom and Self-Government: Ham Seok-heon’s Readings of Zhuangzi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김시천(Si-Cheon Kim)(金是天)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第60輯, 119~14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함석헌’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더 나아가 그를 통해 ‘동양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이 글에서 함석헌과 동양고전의 관계에 대하여 기존의 논의들이 주목하지 못한 몇 가지 쟁점들을 제기함으로써, 함석헌의 ‘옛글 고쳐 씹기’의 해석학에서 우리가 보다 무게를 두어야 하는 지점들을 적시해 보고자 한다. 첫째, 『씨ᄋᆞᆯ의 옛글풀이』는 ‘동양고전’에 대한 주석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하나의 독자적 텍스트로 읽혀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씨ᄋᆞᆯ의 옛글풀이』는 그것이 다루고 있는 『노자』나 『장자』와의 관계보다 현대 한국에서의 삶과 장소에서 읽혀야 한다는것이다. 셋째, 『씨ᄋᆞᆯ의 옛글풀이』의 의미와 가치는 전통 주석에 대한 독창적 해석에 있지 않고, 20세기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씨ᄋᆞᆯ의 자각과 실천의 지침이 된 하나의 ‘공통의 상식’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이 측면을 부각시키기 위해 같은 시기 중국의 『장자』 해석과 대비시켜 보았다. 20세기 중국의 지식인들이 『장자』에 대한 해석과 논의를 통해 스스로의 운명을 예기했다면, 함석헌의 『장자』 읽기는 해석의 주체를 변화시키면서 동시에 근대의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요청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민주주의와 자치의 이념을 설파하는 씨ᄋᆞᆯ의 소리로 표현되었음을 논하고 싶었다. 이와 같이 함석헌을 읽을 때 나는 『씨ᄋᆞᆯ의 옛글풀이』가 갖는 역사적, 철학적 의미와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What does it mean to read Ham Seok-heon in the 21st century? Furthermore, what does it mean to read the ‘East-Asian Classics’ through him?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aise a few issues that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m Seok-heon and the East-Asian Classics have not paid attention to, in order to point out the points that we should give more weight to in the hermeneutics of Ham Seok-heon’s ‘Chewing on Old Classics’. First, Ham’s should be read as an independent text in its own right, not as a commentary on the ‘Oriental Classics’. Second, his SSi-al’ Readings of Old Classics should be read in the context of life and place in contemporary Korea, rather than the Laozi and the Zhuangzi relationships it addresses. Third, the meanings and values in SSi-al’ Readings of Old Classics do not lie in its original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commentaries, but rather in the “common sense” that guided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Ssi-al in the democratization process of twentieth-century Korea. To emphasize this aspect, I contrast it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Zhuangzi in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 want to argue that if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twentieth century anticipated their own destiny through the interpretation and discussion of the Zhuangzi, Ham Seok-heon’s reading of the Zhuangzi was expressed as the voice of Ssi-al, which changed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and at the same time called for the values of modern freedom and equality and preached the ideology of democracy and self-government to realize them. In reading Ham Seok-heon in this way, I believe that we can properly evaluate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 and value of SSi-al’ Readings of Old Classics.
목차
Ⅰ. 함석헌과 ‘동양고전’
Ⅱ. 『씨ᄋᆞᆯ의 옛글 풀이』와 『장자』
Ⅲ. 「逍遙遊」에서 「在宥」로: 無爲와 自治
Ⅳ. ‘씨ᄋᆞᆯ’과 ‘아Q’: 20세기 한국의 장자와 중국의 장자
Ⅴ. 함석헌의 『장자』와 한국철학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NEW
-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중등 수업 사례
- 프랑스 철학교육사 속 어린이철학과 그 함의: 우리 어린이철학교육의 지향을 모색하며
- 그림책 철학수업에서 구현 가능한 미적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