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스크 착용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9
- 영문명
- The Affects of wearing Mask on Learning Ability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한결(Han-Gyeol Lee) 정대인(Dae-In J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2호, 62~null쪽, 전체 null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s of wearing mask on learning ability.
Methods: A total of 90 college stud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KF94 mask(n=30); group 2, Dental mask(n=30), and group 3, No mask(n=30). All groups performed cardiovascular function and class concentration test before and after 4 hours of clas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2.0 vers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in cardiovascular fun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pO2 and heart rate(p<.05). As a result of post-hoc analysis, SpO2 was lower the Dental mask group and the KF mask wearing group than the non-mask wearing group, and lower the KF mask wearing group than the Dental mask group (p<.05). The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F94 mask-wearing group than in the Dental mask-wearing group and the mask-wearing group(p<.05). The difference in class concen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class concentration was lower the Dental mask group and the KF mask wearing group than the non-mask wearing group, and lower the KF mask wearing group than the Dental mask group(p<.05).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ncentration in clas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s where face-to-face classes are becoming active again, it is suggested to remove the mask or wear a low-resistance mask if there are no individual health problem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2호 목차
- 체질량지수에 따른 폐기능 비교
- 문턱값 들숨근훈련과 복합호흡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가로막 두께 및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가로막 이완기법이 가로막 움직임과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 폐이식 수혜자에 대해 적용한 장기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호흡운동을 동반한 몸통 안정화훈련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둥근어깨를 가진 성인에게 자세 개선을 위한 복합운동이 둥근어깨 자세, 근 두께 및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중 마스크의 종류와 착용유무가 집중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마스크 착용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교대 콧구멍 호흡 운동이 심박수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정신건강분야에서의 ICF 관련 연구 동향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Revitalizing Balance and Gait in Older Adults: Insights from a Six-Week Bot Fit Exercise Program at a Smart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 Changes in Pelvic Mobility Across Three Axes During Walking with Different Cueing Strategies: A Pilot Study
- Vestibulo-Ocular Reflex Function in Individuals with Chronic Motion Sensitivity: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