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Lung Function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도현(Do-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2호, 1~4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Obesity causes reduced lung function due to alterations in the lungs and chest wall. This study aimed to compare lung function based on body mass index.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31 participants, which were divided into 2 groups (overweight group and control group). We assessed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VC% predicted in order to compare lung function. The Mann-Whitney U-test was used to compare FVC and FVC% predicted between the overweigh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VC and FVC% predicte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erweight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being overweight has a negative impact on lung function. Therefore, management of body mass index is recommended to improve lung function in overweight individua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2호 목차
- 체질량지수에 따른 폐기능 비교
- 문턱값 들숨근훈련과 복합호흡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가로막 두께 및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가로막 이완기법이 가로막 움직임과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 폐이식 수혜자에 대해 적용한 장기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호흡운동을 동반한 몸통 안정화훈련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둥근어깨를 가진 성인에게 자세 개선을 위한 복합운동이 둥근어깨 자세, 근 두께 및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중 마스크의 종류와 착용유무가 집중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마스크 착용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교대 콧구멍 호흡 운동이 심박수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정신건강분야에서의 ICF 관련 연구 동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32권 제1호 목차
- The Effects of Hot Spring Aquatic Exercise for 4 Weeks on Lower Extremity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in Individuals With Nonspecific Knee Pain
- A Comparison of Lumbopelvic Stability and Knee Muscle Strength With and Without Chronic Low Back Pain in Female Caregivers: A Cross-sectional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