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호흡운동을 동반한 몸통 안정화훈련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5
- 영문명
-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by Breathing Exercise on the Pulmonary Functions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하미숙(Mi-Sook Ha) 한동욱(Dong-Wook Han)
- 간행물 정보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제11권 제2호, 5~1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s and respiratory muscle activity.
Methods: All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healthy and participated voluntaril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10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nd 10 people in the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with breathing exercises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breathing exercises for 4 weeks. Pulmonary functions were assessed. Digital spirometry (Pony FX, COSMED Inc., Italy) and free EMG (Apsun, Inc., Italy) were u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respiratory muscle. The SPSSWIN (version 21.0) package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group (p<.05)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orced vital capacity, inspiratory reserve volume, inspiratory capacity,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prior to and after exercises. The control group, however, showed no chang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the change in respiratory muscular ac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ulmonary functions, application of trunk stabilization training can be a particularly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제11권 제2호 목차
- 체질량지수에 따른 폐기능 비교
- 문턱값 들숨근훈련과 복합호흡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가로막 두께 및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가로막 이완기법이 가로막 움직임과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 폐이식 수혜자에 대해 적용한 장기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 호흡운동을 동반한 몸통 안정화훈련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 둥근어깨를 가진 성인에게 자세 개선을 위한 복합운동이 둥근어깨 자세, 근 두께 및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중 마스크의 종류와 착용유무가 집중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마스크 착용이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 교대 콧구멍 호흡 운동이 심박수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정신건강분야에서의 ICF 관련 연구 동향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부록)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저자 점검표
- 불안 수준에 따른 노인 운전자의 운전 상황별 운전 효능감: 정신건강 운전재활 전문서비스의 필요성 관점으로
- 남성과 여성 노인의 여가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