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의 행위자성(agency)에 관한 연구
이용수 303
- 영문명
- A Study on the Human Agency of Ma-eul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박귀자(Gwi Ja Park) 박상옥(Sangok Park)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29권 제4호, 49~86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위를 단순히 개인적 차원이 아닌 사회구조와 문화적 특성을 포함한 차원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7명의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활동가들의 행위자성 특성이 드러나는 실천을 포착하고, 관계적 행위자성 개념모델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가 행위자성 특성이 드러나는 실천은 사회적 친밀감 형성, 의도적 가치 공유, 임파워먼트를 돕는 관계 맺기, 관행과 소신을 조율하기, 관계를 통해 문제 해결하기로 포착되었으며, 개인적·관계적 성찰과 함께 학습하기를 통해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활동가들이 발현하는 행위자성을 ‘‘우리’ 관계 형성을 위해 연대하는 힘‘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활동가 행위자성 실천을 관계 중심적 실천, 행위자성 실천 형태, 행위자성 발현 주기의 순환, 행위자성 발현을 매개하는 학습의 특징, 행위자성 실천의 함의로 논의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성 개념을 통해 활동가들의 실천 경험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활동가 행위자성 개념 정의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더불어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proactive and active behaviors of Ma-eul education community activists not merely at a personal level, but within a dimension that includes social structur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research participants to capture and analyze the manifestation of activists' agency traits using the relational agency conceptual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actice of activist agency characteristics emerged in the formation of social intimacy, intentional value sharing, relationship building that supports empowerment, harmonizing practices with convictions, and problem-solving through relationships. These were further facilitated through personal and relational reflection and 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ctivists' agency was defined as the power of solidarity for forming 'our' relationships. The study discussed and organized the practice of activist agency into relationship-centered practice, forms of agency practice, the cyclical nature of agency manifes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hat mediate the manifestation of agency, and the implications of agency practice. This research offers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practice experiences of activists through the concept of agency and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activist agency, distinguishing it from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it proposes strateg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village education communitie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마을교육공동체 활동가 행위자성(agency)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