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에 대한 강압

이용수  22

영문명
Compelling North Korea: Accomplishments and Strategies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이동선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통권 제55호, 119~15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7.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대북 강압의 성과, 강압성패의 결정요인, 그리고 강압의 활용방안을 조명한다. 대북 강압의 성과는 대체로 미미하다. 북한이 강한 결의를 지니며 압박감을 충분히 느끼지 않는 것이 강압실패의 주요원인이다. 북한이 소소한 양보만을 해야 하거나 체면의 손상을 피할 수 있는 경우에만 강압이 성공한다. 강압전략의 유형별로 성과를 비교평가하면, 처벌전략과 참수전략은 비효과적이며 거부전략은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다. 강압의 효력이 크지 않으므로, 비핵화를 비롯한 중대목표를 달성하려 할 때에는 군사강압에 의존하지 말아야 하며 국지도발의 중단 등 소박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만 강압을 활용해야 한다. 북한에 대해 강압할 때에는 거부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강압이외의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what military coercion has accomplished against North Korea, why it succeeds or fails, and how it can be effectively employed. The argument is that compellence against Pyongyang has an unimpressive track record. Its poor performance originates from Pyongyang’s strong resolve and invulnerability to military pressure. Compellence can be successful only when it demands minor concessions and requires no significant loss of face form North Korea.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coercion varies across strategy types: a denial strategy holds the best chance of success, while punishment and decapitation are ineffectual. In light of these findings, it is wise to avoid employing compellence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mbitious goals, including denuclearization; its use should be confined to less demanding tasks such as stopping localized aggressions. When compelling Pyongyang, one must seek to devise a denial strategy. If that strategy is unavailable, an alternative to compellence needs to be pursued.

목차

Ⅰ. 서론
Ⅱ. 대북 강압의 성과
Ⅲ. 전략유형별 효과
Ⅳ. 정책적 함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선. (2012).북한에 대한 강압. 전략연구, (), 119-151

MLA

이동선. "북한에 대한 강압." 전략연구, (2012): 119-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