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변국(중·일·러)의 대외·국방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이용수  21

영문명
Foreign Policy and Defense Policy of the Neighboring States and Responding Strategy of the ROK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김열수 김경규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통권 제63호,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7.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미국을 제외한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대외 및 국방정책을 분석해 보고 한국의 대응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 안보정세는 Power Shift의 가시화와 함께 협력보다는 국익 중심의 탈탈냉전의 안보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세력균형을 위해 미일 진영과 중러 진영으로 재편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각 국가들은 power shift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오간스키의 전이 이론(power transition)이 현실화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에 대비하고 있다. 그 결과가 강경한 외교정책, 강한 국방정책, 그리고 이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국방비의 증액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우려스러운 것은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3개국, 특히 중일러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안보 환경하에서 한국이 추진해야 할 대외 및 국방정책의 핵심은 동아시아 안보협력레짐 창설을 위한 적극적 노력, power shift의 안보 상황에 걸맞은 외교 전개, 해양 영토 및 관할권, 그리고 방공식별구역 위협에 대한 적극적 대처, 한국의 위상에 걸맞은 국방정책 추진, 고위험 국가에 걸맞은 국방비와 군사력 건설비 확보 등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analyzes foreign policy and defense policy of the neighboring states including China, Japan, and Russia and suggests responding strategy of the ROK. Power Shift is occurring in world wide, post post-cold war security circumstance oriented in national interest is shaping. US-Japan camp and China-Russia camp appears for the balance of power. Each state assumes that power transition theory of A.F.Organski can be a reality and prepare for it. The results of each state’s preparedness are taking a strong stance in foreign policy and defense policy, and increasing in national defense spending. It is particularly worrisome that China, Japan, and Russia which can influence in the East Asia adopt strong foreign and defense policies. The responding policies of the ROK are making every efforts to the creation of the cooperative security regimes, developing foreign policy suitable to the power shift, coping with threats from sea territory and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pushing ahead with defense policy corresponding to the status of Korea, and securing national defense expenditure suitable to the high-risk country.

목차

Ⅰ. 서론
Ⅱ. 주변국들의 정세 인식
Ⅲ. 중국의 대외정책과 국방정책
Ⅳ. 일본의 대외정책과 국방정책
Ⅴ. 러시아의 대외정책과 국방정책
Ⅵ. 한국의 대응전략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열수,김경규. (2014).주변국(중·일·러)의 대외·국방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전략연구, (), 5-34

MLA

김열수,김경규. "주변국(중·일·러)의 대외·국방정책과 한국의 대응전략." 전략연구, (2014):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