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래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지상군의 역할

이용수  20

영문명
Potential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and Duties of Ground Forces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김열수 김경규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통권 제67호, 139~1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상군은 가장 많은 부대와 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전통적 안보위협- 기후변화, 신종감염병, 사이버 테러, 국제평화와 안전 위협, 물리적 테러리즘- 에서의 역할도 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상군이 이런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완벽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상군은 각각의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해 예방-대비-대응-복구라는 위기관리의 틀을 이용하여 각 단계별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찾아내야 한다. 그 과정 속에서 자신이 해야 할 일과 국방부가 해야 할 작업, 그리고 다른 정부부처와 협조해야 할 일, 그리고 국회의 지원이 필요한 일들이 선별될 것이다. 이에 대한 보완 작업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영문 초록

The ground forces have the largest number of troops and military power,and accordingly, they naturally a big role in non-traditional securitythreats. However, they are fully not prepared to perfectly address such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Therefore, for each non-traditionalsecurity threat, they need to find what is insufficient in each step of thecrisis management frame of prevention - preparation - response -restoration. In this process, they will find and divide into their own duties,the mission given to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part to cooperatewith other government divisions, and things necessary to get support fromthe National Assembly. Earlier supplementation for it will be better.

목차

Ⅰ. 서론
Ⅱ. 위기와 위기관리
Ⅲ. 비전통적 안보위협 분석
Ⅳ. 위협 유형별 지상군의 위기관리 방안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열수,김경규. (2015).미래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지상군의 역할. 전략연구, (), 139-163

MLA

김열수,김경규. "미래 비전통적 안보위협과 지상군의 역할." 전략연구, (2015): 139-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