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랍어 학습동기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Trends of Recent Arabic Learning Motivation Research : Focusing o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 Articles from 2013 to 2022
- 발행기관
-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 저자명
- 공지현(Jihyun Kong) 김보영(Boyoung Kim) 백혜원(Hyewon Baek)
- 간행물 정보
- 『아랍어와 아랍문학』27집 3호, 33~6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랍어 학습동기 연구의 최신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아랍어 학습동기 관련 연구논문 총 75편을 검토하였다. 자료는 출판연도, 동기이론, 연구방법, 연구지역, 주요주제 등 5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아랍어 동기연구의 수가 크게 증가했으며 자기결정성이론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전히 정량적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정성적 방법과 혼합적 방법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다루어지는 연구주제는 지역 별 환경이나 경험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랍어 동기연구를 개선할 수 있는 일부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atest trends in Arabic motivation research. A total of 75 research articles in Arabic, English and Korean on Arabic learning motivation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from 2013 to 2022 were reviewed. The data were categorized into five criteria: publication year, motivation theory, research method, research region, and main theme. The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Arabic motivation research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hat self-determination theory was used the most. In addition, it found out that quantitative methods are still the most used, but the use of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was increasing, and that the main research themes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local conditions or experiences or etc. Based on the results, some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improve the Arabic motivation research.
تهدف هذه الدراسة إلى تحليل أحدث الاتجاهات في الأبحاث العلمية حول دوافع تعلم اللغة العربية لغير الناطقين بها حيث تمت مراجعة إجمالي 75 مقالة بحثية باللغات العربية والإنجليزية والكورية حول دوافع تعلم اللغة العربية منشورة في مجلات أكاديمية محلية وأجنبية من عام 2013 إلى عام 2022. ثم تم تصنيف المقالات إلى خمسة معايير وهي سنة النشر، ونظرية الدوافع، وطريقة البحث، ومنطقة البحث، والموضوع الرئيسي. وكشفت الدراسة أن عدد أبحاث الدوافع العربية زاد بشكل ملحوظ خلال فترة الدراسة وأن نظرية تقرير المصير كانت الأكثر استخداما. بالإضافة إلى ذلك، وجدت أن الأساليب الكمية لا تزال هي الأكثر استخداما، ولكن استخدام الأساليب النوعية والمختلطة آخذ في الازدياد، وأن مواضع الأبحاث الرئيسية أظهرت اختلافات تبعا لظروف المناطق أو تجاربها أو غيرها. وبناء على نتائج هذه الدراسة، قدمت بعض الاقتراحات لتحسين الأبحاث حول دوافع تعلم اللغة العربية.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검토
Ⅲ. 연구 조사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