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군 조직에서 스트레스 관련 성장의 영향 요인
이용수 246
- 영문명
- Correlates of Stress-related Growth in the Military : Focused on Resili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이현엽(Hyunyup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7권 제6호, 69~8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외상 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PT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잘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인 스트레스 경험 이후 긍정적인 성장(stress-related growth; SRG)과 관련된 예측요인에 대해서는 잘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 내적인 변인(회복탄력성, 그릿, 고통 감내력)과 조직 수준의 변인(조직몰입, 조직 동일시)이 군사 훈련 스트레스 경험 이후 개인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료는 5주간의 군사훈련을 받은 육군사관학교 가입교 생도 289명(평균연령=19.5세, 남자=262명, 여자 27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개인 내적 변인 중 회복탄력성은 지각된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통제한 이후에도 SRG에 유의한 관련성(β=.199, p < .01)을 나타냈다. 그러나, 그릿과 고통 감내력의 차별적인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 수준의 변인이 추가로 투입된 최종모델에서도 회복탄력성은 여전히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β=.144, p < .05), 조직몰입(β=.447, p < .001)과 조직 동일시(β= .118, p < .05)도 SRG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군대와 같은 조직에서는 개인 내적 특성인 회복탄력성과 더불어 조직 수준의 변인, 즉 조직몰입 및 조직 동일시를 증진하는 것이 역경 이후 긍정적인 성장을 일으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군 리더 또는 정책 전문가들은 군인들이 군조직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Much prior research has examined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PTG). However, less is known about information on predictors of stress-related growth (SRG). Th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s of intra-personal factors (resilience, grit, distress tolerance) and organizational fact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n SRG after military training. We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289 prospective cadets (men = 262, women = 27) who received basic military training for five weeks (mean age = 19.5 year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sili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RG,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β = .199, p < .01). However, grit and distress tolerance did not have differential impacts on SRG. In the final model including organizational variables, resilience still remained as a significant predictor (β = .144, p < .05). Organizational commitment (β = .447, p < .001) and identification (β = .118, p < .05) also showed positive impacts on SRG. These results imply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dentification as well as resilience as an intra-personal resource can be helpful for positive change after adversity in the military. Therefore, military leaders or policy makers should exert to improve soldiers' favorable attitudes or the sense of unity toward the militar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
- 메타버스로 본 소설의 경계 연구
- 분만실 사례 기반 여성건강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성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성장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 2021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국내 폐경기 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분석
- 지자체의 수요자 중심 주문형 데이터 제도 도입 필요성
- 군 조직에서 스트레스 관련 성장의 영향 요인
- 진저롤 성분이 중년 여성의 무릎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미중패권경쟁에서 아세안을 통한 한국의 경제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무후두 음성에 대한 성문 역 여과 분석의 유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