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 Policy of Multicultur Married Migrant Women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이말순(Mal Sun Lee) 홍상욱(Sang Ook Hong) 신현태(Hyon Tai Shin)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7권 제6호, 49~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사회 정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정책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정책적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정착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을 지원하기 위한 현행 교육정책들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을 토대로 교육정책의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새로운 교육정책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관기관 간 협업을 통하여 전문성과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경제적 활동 및 사회적 참여와 편견을 줄이기 위하여 국가별 교육콘텐츠를 개발 운영하여야 한다. 셋째, 다문화 전문가 양성에 결혼이주여성의 활용을 함으로써 경제적 참여와 안정적 정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e attempted to explore future policy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 polic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Married Migrant women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th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Married Migrant women. Second, we analyzed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to support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through marriage. Third, based on the analysis, problems in education policy and improvement measures to overcome them were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new education polic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agencies in charge. Second, educational contents for each country must be developed and operated to reduce prejudice for economic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economic participation and stable settlement by using marriage migrant women to cultivate multicultural experts.
목차
1. 서론
2. 다문화 결혼이주여성과 정착
3. 다문화 결혼이주여성 교육정책
4. 다문화 결혼이주여성 교육정책 진단 및 개선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
- 메타버스로 본 소설의 경계 연구
- 분만실 사례 기반 여성건강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성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
-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 평생학습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성장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 2021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국내 폐경기 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분석
- 지자체의 수요자 중심 주문형 데이터 제도 도입 필요성
- 군 조직에서 스트레스 관련 성장의 영향 요인
- 진저롤 성분이 중년 여성의 무릎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미중패권경쟁에서 아세안을 통한 한국의 경제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 무후두 음성에 대한 성문 역 여과 분석의 유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