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Study on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Affective Lability Sca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최성규 최선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207~23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의 타당화 연구이다. 연구방법: 전국의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49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Look 등(2010)이 제안한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 18개 축약판 문항을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적용한 결과, 선행연구와 불안/우울과 동일하게 18개 문항에 대한 타당도가 검증되었으나, 선행연구의 3개 요인이 아닌, 들뜸/분노와 같이 2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성별, 학력, 교직경력은 불안/우울 척도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제공하는 변인이었다. 그러나 들뜸/분노 척도는 배경변인별에 관계없이 모두 유사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18개 문항 중에서 4개의 문항이 삭제되었다. 불안/우울과 들뜸/분노 척도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두 요인에 대한 모든 문항은 높은 설명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는 14개 문항으로 구성되며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validation of the special teacher's a short form of the affective lability scale. Method: 496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nationwide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he short form of the affective lability scale suggested by Look et al. (2010) was translated and used equally in 18 abbrevia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at: (a) apply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18 items was verified in the same way as the previous study, but it was two factors such as anxiety/depression and elation/anger. Second, the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ing care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anxiety/ depression scale. However, the elation/anger scale was similar regardless of background variables. Third, four out of 18 items were delet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xiety/depression and elation/anger scale were highly correlated, and all of the items had high explan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hort form of the affective lability scale of the special teacher was composed of 14 items and suggested that it had valid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성규,최선아. (2018).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0 (1), 207-232

MLA

최성규,최선아. "특수교사의 정서적 불안정성 축약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0.1(2018): 207-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