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Teachers’ Awarenes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백지혜 박재국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0권 제1호, 69~10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 그리고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7학년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서 25부를 분석하고, B광역시, D광역시, G시, Y시, J시, C시, T시, Y군 등에 소재한 특수학교 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교사 기본 정보,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인식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서와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의 주당 수업시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기본교과의 수업시수는 자유학기제 편성을 위하여 상당부분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전체 수업시수를 살펴보면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수업 시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중점 운영 영역을 진로탐색 활동으로 한 특수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은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활동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동아리 활동과 교과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주제선택 활동의 인식 수준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은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이수 여부, 교직경력, 학교 소재지, 직위, 담당학생의 주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셋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은 평균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영계획과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환경, 결과의 효과성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인식 수준은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이수 여부, 교직경력, 학교 소재지, 담당하고 있는 학생의 주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결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2018학년도 전면 실시 예정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실제적인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학교,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구축 및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agement status of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school teachers’ awareness. Method: For this investigation, twnety five special schools that offers the free semester in 2017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 questionnaire surveys were implemented on special school teachers from two metropolitan cities and six cities, together with the analysis based on 218 survey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basic information about teachers, performance levels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and awareness about the management status of free semester for special schoo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free semester operations plan and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lessons per week in the free semester did not change much, but the number of lessons in the basic subjects was significantly reduced for the free semester. Second, the performance levels of the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as found to be average level, There was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club activities and curriculum administration in the sub - areas of free semester activities,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topic selection activities was a little low. Third, the overall level of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operation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is above the average level. Especially,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operation plan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high,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the effect of the result were a little low.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free semester we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지혜,박재국. (2018).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0 (1), 69-106

MLA

백지혜,박재국.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0.1(2018): 69-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