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글쓰기 과정에서의 모국어 사용
이용수 2
- 영문명
- The use of mother language in Korean composing process: Based on the think-aloud protocols of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왕효성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8호, 243~27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9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reported a study on how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their mother language when composing in Korean, and how much the use of mother language was affected by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ight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asked to compose aloud on argument writing task. Analyses of their think-aloud protocols revealed that these students had both Chinese and Korean at their disposal when composing in Korean.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rely on Chinese generating and organizing contents during the writing process. On the contrary, they depended on the Korean when undertake the task-examining, lexical searching, language using and translating activities. Finally, the think-aloud protocols reflected that the use of mother language decreased with the writer’s Korean development, but the extent of the decline in each activities varied. Proficient writers were likely to use Chinese for meta-commenting the composing process and generating contents in their Korean composing process; The less proficient writers also used Chinese for meta-comments but they were also likely to use Chinese for lexical searching, language use and translatio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결과 해석
5. 결론 및 논의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속독 훈련이 읽기 속도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
- 개화기 소설의 한․중․일 번역 양상에 관하여
-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Family Discourse at Multicultural Homes in Korea: With an emphasis on mother-child interactions in homework caring situations
- 유학생을 위한 시험 답안 작성법 교육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 원리
- 한국어교육 이러닝 사이트의 접근성 분석
- 한국인 학생의 프랑스어 운율 학습 결과 고찰
-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텍스트 응집성 인식 양상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작문에서의 단락 조직화 양상 연구
- 다문화 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 한국어 글쓰기 과정에서의 모국어 사용
- 중국 연변지역 청자대우법 체계에 대한 초보적 고찰
- 문화 간 의사소통의 시각에서 본 한ㆍ중 색채어의 의미 대조와 그 번역에 대한 연구
- 스페인어 haber (존재), tener (소유) 동사 문법 교육
- 영어권 화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습득 과정 사례 연구
- 상호텍스트성에 기반을 둔 한국어 중․고급 듣기 과제 설계 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