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tercultural awareness education case study for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focusing on stereotype introspection and unfamiliarity with own culture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박소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86호, 115~14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intercultural awareness as part of enhancing intercultural competence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So we theoretically considered critical 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self-consciousness through stereotypes and unfamiliarity with self-culture. And by applying and analyzing these to intercultural teacher education, practical and experiential intercultural awareness teacher education methods were sought. Therefore,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problems of cultural bias such as stereotypes were examined, and as a way to overcome this, the unfamiliar view of self-culture was review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es experientially to have an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Furthermore, it was recognized that it is not an easy process to break out of the self-culture frame, and reviewed that continuous introspection and training process are necessary to minimize thi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이론적 배경
4. 상호문화 인식 교육 적용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모국어 화자-학습자 간 피동 사용양상 연구
- 한국어 쓰기 평가를 위한 자동채점의 가능성 탐색
-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 복잡성 발달에 대한 종적 연구
- 고전시가 <정읍사>를 활용한 한국 문학 교육 방안 연구
- 중국 이주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구어 사용에 나타난 복잡성과 정확성 연구
- 한 중 외교 브리핑 담화에 반영된 ‘개입’ 연구
- 한국어 교육 동영상 자료의 형식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연구
- 한국어 ‘-ㄴ 것이다’ 구문과 중국어 ‘是……的’ 구문의 대조 연구
-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상호문화 인식 교육 사례 연구
- Unnoticed Errors through Self-Correction in Writing: Grapho-Phonological Errors of Spanish KFL Student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