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brication of 3-Step Light Transmittance-variable Smart Windows based on λ/2 Retardation Film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김일구 양호창 박영민 서요한 홍영규 이승현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0권 제3호, 78~82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Reactive mesogen (RM) 기반 λ/2 위상지연 필름과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3단계로 투과율 가변이가능한 스마트윈도우 제조 기술을 제안한다. λ/2 위상지연 필름은 위상차 (Γ) 값이 π (Δn·d=λ/2)이며, 위상지연 필름에 입사된 빛의 진행방향을 필름의 광축에 대칭된 각도로 변환시키는 특징이 있다. 위상지연 필름의 Δn·d 값이 λ/2에 근접할수록 변환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복굴절 물질인 RM 두께별 retardation (Δn·d) 특성 평가를 통해 Δn·d가 λ/ 2(=275 nm@550 nm)에 근접한 276.1 nm의 값을 갖는 위상지연 필름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 (편광필름)/(유리기판)/(배향막)/(λ/2 retardation film) 구조의 스마트윈도우를 제작하여 투과모드, 반투과모드, 차단모드에서의 광 투과 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투과율은 각각 35.8%, 27.8%, 18.2%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λ/2 위상지연 필름을 이용하여 3 단계로 투과율 제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50×200 mm2 크기의 스마트윈도우를 구현함으로써 건축물,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A fabrication of smart windows with controllabl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in three steps by using λ/2 retardation films based on a reactive mesogen (RM) material and polarizing films is demonstrated. The phase retardation films with a Δn·d value of λ/2 (λ: wavelength) convert the direction of a traveling light to the optical axis of the film symmetrically. In this work, the retard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M thickness were evaluated and henceλ/2 phase retardation film can be fabricated. The phase retardation film with Δn·d of 276.1 nm, which is close to λ/2 (=275 nm @550 nm), was fabricated. The light transmittance of a smart window with the structure of (polarizing film)/(glass)/(alignment layer)/(λ/2 retardation film) was measured in the transmission mode, half mode and blocking mode.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transmittance of the smart window can be controlled in three steps with 35.8%, 27.8%, and 18.2% at each mode, respectively. In addition, by fabricating a smart window with a size of 150×200 mm2, the feasibility of use in various fields such as buildings and automobiles was verified.
목차
1. 서 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류정정
- λ/2 Retardation Film을 이용한 3단계 투과율 가변 스마트윈도우 제작
- ESG를 위한 반도체 패키지 기술 트렌드
- Ti₃C₂Tx MXene 기반 전극 소재의 자가 치유 적용 기술 개발 동향
- 300 mm 웨이퍼의 전영역 TTV 측정 정밀도 향상을 위한 모듈 설계
- 원자층 증착법 기반 양이온-음이온 이중 도핑 효과에 따른 ZnO 박막의 전기적 특성 비교 연구
- 2차원 채널 물질을 활용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저항 요소 분석
- 기판과 무연솔더 계면에 전사된 그래핀 층의 금속간화합물 성장 지연 효과
- 인터포저를 이용한 Stacked PCB의 휨 및 솔더 조인트 강도 연구
- 강유전체 분극 이력곡선의 측정 정밀도 향상
- 첨단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미세 피치 Cu Pillar Bump 연구 동향
- 박형 기판의 사면 접합 공정 및 인장 특성 평가
- 인공지능 반도체 및 패키징 기술 동향
- 질소분위기 전자빔 조사에 의한 졸-겔 IGZ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향상
- 열처리에 의한 Ti 기반 MXene 소재의 구조 변화와 전자파 간섭 차폐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유전성 물질을 이용한 Multi-level FeRAM 구조 및 동작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스케일링 교육경험 및 치과위생사의 태도가 치과공포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적용을 위한 DPSS 레이저를 이용한 디본딩 메커니즘 연구
- AI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최근의 Through-Glass Via (TGV) 형성 기술
- 3D-DIC와 스티칭 기법을 활용한 대면적 Warpage 및 국소 면내방향 변형률의 동시 정량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