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ent Progress of Ti3C2Tx MXene Electrode Based Self-Healing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 저자명
- 최준상 정승부 김종웅
- 간행물 정보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제30권 제3호, 20~34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산업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 나노미터의 두께의 단일 또는 여러 층으로 구성된 2차원 소재는 전기전도성, 유연성, 광학적 투명성 등의 고유한 특성으로 많은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 중 Electronic skin (E-Skin)이나 Smart Textile 과 같은 반복적인 기계적 동작이 수반될 수 있다. 또한, 온도, 습도, 압력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노출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 때, 소자의 내구성과 수명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자가 치유 특성이 내포된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다양한 2차원 소재 중 자가 치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Ti₃C₂Tx MXene 기반 전극의 복합 소재의 연구 결과가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i₃C₂Tx MXene의 다양한 합성 방법 및 특성에 대해 소개한 후, Ti₃C₂Tx MXene 전극 기반의 자가 치유 적용 기술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gle or multi-layered two-dimensional (2D) materials, with thicknesses in the order of a few nanometers, have garnered substantial attention across diverse research domains owing to their distinct properties, including electrical conductivity, flexibility, and optical transparency. These materials are frequently subjected to repetitive mechanical actions in applications like electronic skin (E-Skin) and smart textiles. Moreover, they are often exposed to external factors like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sure, which can lead to a deterioration in component durability and lifespan. Consequently, significant research efforts are directed towards developing self-healing properties in these components. Notably, recent investigations have revealed promising outcomes in the field of self-healing composite materials, with Ti₃C₂Tx MXene being a prominent component among the myriad of available 2D materials. In this paper, we aim to introduce various synthesis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i₃C₂Tx MXene, followed by an exploration of self-healing application technologies based on Ti₃C₂Tx MXene.
목차
1. 서 론
2. MXene 합성 및 특성
3. Ti₃C₂Tx MXene 전극 기반 자가 치유 적용 기술연구 사례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류정정
- λ/2 Retardation Film을 이용한 3단계 투과율 가변 스마트윈도우 제작
- ESG를 위한 반도체 패키지 기술 트렌드
- Ti₃C₂Tx MXene 기반 전극 소재의 자가 치유 적용 기술 개발 동향
- 300 mm 웨이퍼의 전영역 TTV 측정 정밀도 향상을 위한 모듈 설계
- 원자층 증착법 기반 양이온-음이온 이중 도핑 효과에 따른 ZnO 박막의 전기적 특성 비교 연구
- 2차원 채널 물질을 활용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저항 요소 분석
- 기판과 무연솔더 계면에 전사된 그래핀 층의 금속간화합물 성장 지연 효과
- 인터포저를 이용한 Stacked PCB의 휨 및 솔더 조인트 강도 연구
- 강유전체 분극 이력곡선의 측정 정밀도 향상
- 첨단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미세 피치 Cu Pillar Bump 연구 동향
- 박형 기판의 사면 접합 공정 및 인장 특성 평가
- 인공지능 반도체 및 패키징 기술 동향
- 질소분위기 전자빔 조사에 의한 졸-겔 IGZ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향상
- 열처리에 의한 Ti 기반 MXene 소재의 구조 변화와 전자파 간섭 차폐 특성에 관한 연구
- 강유전성 물질을 이용한 Multi-level FeRAM 구조 및 동작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산업공학분야 BEST
- 웹소설에 나타난 ‘회귀와 환생’의 욕망코드
- AI-교사 협력 모델을 통한 교육적 관계 분석 : 가상 시나리오 기반 연구
- 스케일링 교육경험 및 치과위생사의 태도가 치과공포에 미치는 영향
공학 > 산업공학분야 NEW
- 첨단 반도체 패키징 적용을 위한 DPSS 레이저를 이용한 디본딩 메커니즘 연구
- AI 반도체 패키징을 위한 최근의 Through-Glass Via (TGV) 형성 기술
- 3D-DIC와 스티칭 기법을 활용한 대면적 Warpage 및 국소 면내방향 변형률의 동시 정량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