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ng Losses of Pension Benefits in Wrongful Death Cases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마승렬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3권 2호, 105~142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해연금이나 유족연금 등 종신연금을 매기 지급받고 있던 연금수급자가 각종 사고로 인해 사망하게 되면 이후 연금을 더 이상 지급받을 수 없게 될 것 이므로 연금 수익에서의 손해가 발생한다. 손해배상 실무에서는 연금의 손해액 평가방법에 대하여 아직까지 정형화 된 평가기준을 정하고 있지 않으며, 법원 에서는 호프만식 산정방법을 관행적으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금손해액이 실제보다 과소평가 되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합리성 에 근거한 종신연금의 현가산정모형을 설정한 후 종신연금 수급자가 각종사고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 상실하게 되는 연금의 손해액을 평가하였으며, 현행 법 원에서의 예상판결금액과 비교하여 양자 간의 차이를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우리가 예상한 바와 같이 현행 법원의 평가방법은 현실세계를 과소평가하는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향후 손해배상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금손해액의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life annuity such as a disability pension or a survivor pension, the death of beneficiaries due to each kind of accidents will cause losses of pension benefits because the pension benefits can not be paid anymore. At this time, the losses can be underestimated because there is no stereotyped method of compensation for losses of pension benefits and conventionally the court`s decisions were made by using Hoffman`s method. In this analysis, we evaluated the present values of losses of pension benefits resulting from wrongful death using economically reasonable models and then confirmed the gap in valuation by comparing that with the court`s values.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the losses are underestimated by the current calculating method of court as we expected. Based on this finding, we suggested a reasonable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present value of losses which can be applied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각종 종신연금의 지급기준 개관
Ⅲ. 연금손해액의 현가산정모형 및 분석자료
Ⅳ. 분석결과
Ⅴ. 자동차보험에서의 종신연금 손해액 산정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금융기업의 자사주 취득 공시효과
- 민영건강보험의 도덕적 해이와 본인부담금의 도입 효과 분석
- 사회경제적 허용위험을 고려한 전기설비의 위험기준 개발
- 독점보험 시장에서 생명보험 전매제도 도입에 대한 이론적 고찰
- On the Growth and Productivity of Korean and Chinese Life Insurers
- 사망사고로 인한 종신연금 수급자의 손해액 평가
- Regime-Switching 모형을 이용한 실손의료보험 제도변경의 영향 분석
- 금융 감독당국의 민원평가제도 도입효과에 대한 분석
- 사망률 보증 연금전환 옵션의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