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Effectiveness of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서용하 우인성 장철 황명환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6권 3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인 건설업 분야의 KOSHA 18001 위험성평가 적용 사업장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자가기입식, Self-administered, 설문을 배포하여 위험성평가 도입시 문제점과 안전보건활동과의 연계성 및 실효성을 분석하여 위험성평가 제도의 조기 정착에 시행착오를 제거하고 개선방안을 찾고자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위험성평가 시스템 도입시 주된 문제점은 전문 인력과 정보의 부족, 위험요인 도출 및 개선대책의 수립 등, 위험성평가 기법에 대한 교육적인 측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험성평가 제도를 조기에 정착하여 원활한 시행을 위해서 는 실질적으로 필요한 위험성평가 기법에 대한 정보 및 자료, 교육과 역할연기 등의 훈련이 선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부에서는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과 재정적인 지원을 정책적으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executed to establish the quick settlement of risk assessment throug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the workers at the Constructor field``s. According to this research, main problems of risk assessment system was analysed that it has the shortage of experts and information, and difficulty in educating a risk assessment technique. To settle the risk assessment system earlier and execute it smoothly, it is estimated that it requires an education and training of risk asses sment technique actually necessary, and the government should execut e the assisting policy promoting experts and supporting finance.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연구의 고찰
Ⅲ. 위험성평가 시스템의 운영실태 조사
Ⅳ. 위험성평가 시스템의 운영실태 조사결과
Ⅴ.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