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nimum Funding Requirement for DB Retirement Pension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배상현 정도영 성주호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28권 1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자산운용을 통해 수익성 및 미래 급부의 안정성을 마련하여 근로자의 수급권을 보호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수급권 보호 차원에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자의 중장기적 수급권 제고 관점에서 허용 가능한 잉여금 하방리스크(surplus shortfall risk)를 활용하여 현행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서 정한 재정 건전성 검증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적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적립금 부족의 판단기준 및 해소방안)에서 적립금 부족 해소기준을 최소적립금의 100분의 95에서 100분의 90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립부족 해소기간을 현행 3년에서 적립금 부족 상태에 따라 해소기간을 차등화 하여 DB형 가입기업의 자산배분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분산투자를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goal of the investment policy on the defined benefit (DB) retirement pension is to protect the pension entitlement of workers by establishing profitability and stability of future benefits through asset management. The reserve funds in Korea, however, still have some problems to be improved compared to those in US and Japan. This study then raises several questions on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financial soundness standard established by Retirement Benefits of the Employees Act, using the constraints of surplus shortfall risk, from a medium and long-term perspective of enhancing the pension rights of the employees. We also suggest a policy improvement to solve it. Based on the results,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Retirement Benefits of the Employees Act regarding the standard for the deficit of funds should be eased from 95% to 90%. Furthermore, the settlement period of financial stabilization for the deficit should be differentiated based on the deficit status, which may increase the asset allocation efficiency of the company and encourage investment diversif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산출모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동향 분석
 - 소비자의 CCM인증(소비자중심경영)기업에 대한 인식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SG 경영 기대와 태도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