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리스크관리학회
- 저자명
- Sangjin Park Dong-kun Lee Sang-wook Nam
- 간행물 정보
- 『리스크관리연구』32권 4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중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홍수 리스크를 평가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기초한 미래의 홍수 리스크를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장래 홍수 리스크 예측 방법으로 머신러닝 기법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홍수 리스크 예측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과 국가적으로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가지의 머신러닝 기법 (NB, kNN, RF)를 각각 사용해 폭우 발생이 많았던 충청북도 청주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리스크를 예측하고, 지역기후모델(RCMs)과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 8.5)별 미래의 잠재적 홍수 리스크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머신러닝 기법 중 RF 결과(AUC: 0.616)가 가장 좋은 홍수 리스크 예측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후 변화 시나리오 별 홍수 리스크 예측 결과, 미래의 불확실성을 감안하더라도 시간이 흐를수록 홍수 리스크가 점증하고, 특히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실패할 경우(RCP 8.5) 홍수 리스크가 확연히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multiple machine learning methods to assess flood risks caused by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predict future flood risks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In particular, we aime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s a tool to predict future flood risks. Through this analysis, we sough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reparing plans to improve flood risk predictions and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To this end, we used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aïve Bayes, k-nearest neighbor, and random forest) to predict flood risks in certain areas of Cheongju, Chungcheongbuk Province, South Korea, where heavy rain occur frequently, and assessed future flood risk for each regional climate model and climate change scenario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and 8.5). RF (AUC: 0.616), among al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ested, achieved the best flood risk predictive performance. Furthermore, for each climate change scenario, the models confirmed a gradual increase in flood risk over time, even when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is considered. In particular, if the greenhouse gas mitigation policy fails (RCP8.5), the flood risk will increase significantl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work
Ⅲ. Flood risk analysis
Ⅳ.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otential Flood Risk Analysis Considering Climate Change Impact
- 신지급여력제도(K-ICS)에서의 할인율에 관한 연구
- 예금보험 최소비용의 원칙과 보험계약자 보호
- Goals-based Investing and Contributing Strategies for an Income Replacement Rate in the DC Occupational Pension Scheme of Korea
- 건강보험통계 기반 건강 수준 평점화 모형을 활용한 간편고지 상품 유형별 보험요율 차등화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