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헤어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비대면수업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Learning Presence in Non-face-to-face Class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 in Hairstyling 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지희 박은준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3호, 73~8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2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s,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dramatic changes in people's daily lives. They have worked to improve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 by enhancing learning presence through smooth communications with students after going through trials and errors in non-face-to-face classes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to such new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earning presence of such online classes 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outcome agains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styling and develop a plan to deliver high-quality education with a goal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osmetology education. For th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styling in Seoul and Gyeonggi-do. A total of 301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t is required to develop high-quality class environments to make students recognize learning presence on their own and attain a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among students. It is anticipated that there would be further studies with more specific academic maj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엑스틴세대의 소비성향이 병원화장품 정보탐색과 광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종사자의 셀프리더십과 내재적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뷰티아카데미 강사의 커뮤니케이션과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와의 상관성 연구
- 여성 피부미용종사자의 감정조절, 공감능력,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디올 패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 자근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 Rasch 모형을 이용한 뷰티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도구 타당화
- 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을 응용한 아트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 미용교육 후 진로결정이 현업적용도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 실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헤어 컬러 디자인 연구 방향
- 피부미용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헤어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비대면수업의 학습실재감이 학습몰입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MZ세대 여성의 얼굴 이미지와 헤어스타일 분석
- 영화·드라마의 캐릭터를 커버 메이크업한 유튜브 콘텐츠의 특성 연구
- 왁싱샵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아브젝트 아트 특성이 반영된 특수분장 마케트 제작
- 20대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연구
- DISC 행동유형에 따른 네일 소비인식이 소비가치 추구에 미치는 영향
- 봄꽃 이미지를 형상화한 헤어아트 연구
- 직업계고 미용 교사의 실험·실습실 유해성분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시행의 필요성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