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창업 교과목 운영 사례

이용수  144

영문명
A Case Study of University Start-up Course : Focusing on Social Entrepreneurship Start-up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저자명
김인숙
간행물 정보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7권 제3호, 35~5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 정규 창업 교육과정 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 운영 사례를 통해 창업 교육방법과 창업 교과목의 실천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기업가정신 교과목의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전과 후에 자기평가식 설문조사, 수업 후 성찰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과 중요 사건을 중심으로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설문조사 결과,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과 진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문조사 결과, 친사회성의 공동체의식, 공감, 돕기 모든 요인에서 창업 교과목 수업 이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과 공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후 성찰보고서에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의 실천적 교수전략의 긍정적 효과는 팀활동을 통한 기업가정신 발현 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학습활동 참여 효과, 진로의 선택지로서 창업에 대한 인식 제고, 교수자의 팀활동 퍼실리테이션과 학습 코칭 효과로 나타났으며, 애로사항으로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철학에 맞는 창업 아이디어 도출 및 개발 과정의 어려움과 팀원 모두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어려움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학습자의 협력적 참여 중심 실천적 교수전략을 제안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start-up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art-up courses through the operation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in the university's regular start-up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operate,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surveys and post-class reflection reports, and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important events. First, the main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factor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taking in entrepreneurship increased after the start-up course class, and innovation and initiative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ll 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empathy, and help in prosociality increased after the start-up subject class,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empathy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ird, in the post-class reflection report, the positive effects of learners' cooperative participation-oriented practical teaching strategies were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and results through team activities, raising awareness of start-ups as career op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start-up idea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 strategy centered on the coopera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evidence for supporting effectiv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숙. (2023).대학 창업 교과목 운영 사례. 교육컨설팅코칭연구, 7 (3), 35-52

MLA

김인숙. "대학 창업 교과목 운영 사례." 교육컨설팅코칭연구, 7.3(2023): 35-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