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서와 행초서의 혼융체(渾融體)로 표현되는 새로운 서예 장르
이용수 19
- 영문명
- A new genre of Chinese calligraphyintegrating the seal, cursive and semicursive components of characters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김성인 강천규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3호, 197~2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자의 서체는 크게 전, 예, 해, 행, 초서의 다섯 체로 구분된다. 거의 대부분의 서예작품에서, 이를 구성하는 모든 글자들은 이 중 하나의 같은 서체를 갖는다. 이 논문에서는 한 글자를 이루는 파자(破字)들이 전서체 또는 행초서체(전행초서 혼융체)로 표현되는 서예의 새로운 장르(genre)를 개발한다.
이 전행초서 혼융체는 기존의 전서체와 행초서체가 갖는 조형성을 크게 넓혀, 다양한 미학적 특징을 가진다. 이 혼융체는 전서체와 행초서체 각각의 미학적 특징을 유지하기도 하고, 이들이 어우러져 자체의 다양하면서도 독특한 미학적 면모를 내보인다.
이러한 전행초서 혼융체 장르의 서예 작품은 종래의 전서체 서예와 행초서체 서예의 두 장르가 갖는 각각의 예술성을 물려받고, 나아가 이들의 시너지(synergy) 효과로서 독특하고 무한한 잠재적 예술성을 내포하여, 혼융체 자체의 오묘하고 독특한 예술적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영문 초록
The four main styles of Chinese calligraphy characters are in the general order of their appearance: seal script, clerical script, regular script, and cursivesemicursive script. Generally, all the characters in a calligraphic art work have a consistent type of script. In this paper, we develop a new genre of calligraphy art, in which the components constituting one character are expressed into the seal script and cursivesemicursive script, which is a fusion of the two scripts.
The fusion of these scripts brings forth variou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greatly expanding the formativeness of the scripts. This fusion script maintain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wo scripts, and in combined form, it shows its own diverse yet unique aesthetic aspects.
The calligraphic art work in this fusion script genre inherits the artistry in both of the seal script genre and the cursiveorsemicursive script genre. Furthermore, as a synergy effect of the two genres, it has infinite potential artistry and displays an inspiringly profound and rich yet unique artistic atmosphere and inspiration.
목차
Ⅰ. 서체 간의 혼합에서 혼융으로
Ⅱ. 서체로서의 전-행초서 혼융체
Ⅲ. 새로운 장르로서의 전-행초서 혼융체 서예
Ⅳ. 결론 및 고찰
키워드
파자(破字)
서체의 미학적 특징
미학적 면모
작품의 예술성
예술적 분위기와 흥취
전행초서 혼융체
혼융체 서예(장르
genre)
난수 순열(亂數 順列)
Components of characters
Sealcursiveorsemicursive script
Fusion script
Genre of Chinese calligraphy art
Formativeness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artistry
Artistic atmosphere and inspiration
Random permut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