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이용수 45
- 영문명
- High School Textbook Definition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tinuity of Functions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박달원 홍순상 신민영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5권 제3호, 453~46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속함수에 대한 오개념 이미지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Ⅱ 교과서와 수학과 고등학교 교육과정해설서를 조사 분석하고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도입하고 있는 함수의 연속성에 대한 정의 방법이 교과서별로 동일하지 않고, 대학의 공식적인 정의와도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속함수에 대한 학생들의 오개념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오개념 이미지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함수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에 대한 대학의 공식적인 정의를 학교수학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방법으로 함수의 연속과 불연속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first analysis definition of continuity of functions in high school textbooks, the mathematics high school curriculum and university mathematics textbooks.
We surveyed what was causing the students to struggle in their concept image of continuity of functions. We arrived at that students' concept for errors in images of continuity of function were caused by definition of continuity of functions in high school textbook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 영재학생들의 GSP를 활용한 내분삼각형 넓이의 일반화
- 우리나라 수학 학원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 평면도형에 관한 학생들의 오류에 대한 초임 초등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 분석
- 중·고등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별 수학 불안의 차이
-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 연속함수에 대한 고등학교 교과서의 정의와 고등학생들의 이해
- 관계적 이해와 창의적 수학 문제발견능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 수학 내적 연결성에 관한 형식적 측면 연구
-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학습 실태 및 적응 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