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Question, Turn-Taking Pattern, and Student Talk in Mathematics Classrooms
이용수 19
- 영문명
- 수학 교실에서 교사 질문, 말차례 가지기 규칙, 학생 발화 사이의 관계 분석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황성환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22권 제4호, 439~4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 질문, 말차례 가지기 규칙, 학생 발화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학 교실 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같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세 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수업을 대화분석 기법을 사용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가 닫힌 질문을 사용하고 전통적인 말차례 가지기 규칙(교사발문-학생반응-교사평가)을 사용하였을 때 학생들은 정답을 말하는 것에만 관심을 갖고 짧은 발화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교사가 열린 질문을 사용하고 비전통적인 말차례 가지기 규칙(교사발문-학생반응-학생반응 또는 학생발문-교사반응-학생반응)을 사용하였을 때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정당화하고 다른 사람의 생각을 반박하기 위해 교실 담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그리고 방법론적인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amine classroom interac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questions, turn-taking patterns, and student talk in mathematics classrooms. We analyze lessons given by three elementary teachers who work in the same school using a conversation-analytic approach. The results reveal that when teachers provide open-ended questions, such as “why and how” questions and “agree and disagree” questions, and use a non-IRE pattern (teacher initiation–student response–teacher feedback; Mehan, 1979), students more actively engage in classroom discourse by justifying their ideas and refuting others’ thinking. Conversely, when teachers provide closed-ended questions, such as “what” questions, and use an IRE pattern, students tend to give short answers focusing on only one point. The findings suggest teachers should use open-ended questions and non-IRE turn-taking patterns to create an effective math-talk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school administrators and mathematics educators should support teachers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regarding this approach.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s
Ⅳ. Results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울기의 개념에 관한 유형 분석
- 과정중심평가를 통한 수학교과 인성 함양 효과
- 예비교사의 초등수학교과서 활용에 대한 관점
- 중학교 수학교과서와 중학생들의 반 힐레 기하수준에 관한 연구
- 중학교 통계영역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2권 제4호 목차
-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 Question, Turn-Taking Pattern, and Student Talk in Mathematics Classrooms
- 수학수업을 위한 예비초등교사의 교수학적 변환 고찰
-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