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과 한국의 교원양성과정 사례 비교 연구
이용수 8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 and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호 임광국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8권 제2호, 69~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독일과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과정 사례 비교를 통해, 국내 교원양성과정 개발 시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독일 내 ‘교원양성의 디지털화’ 프로젝트 추진 배경, 독일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디지털 역량 개념 및 두 개의 대학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원양성과정 사례를 살펴보면서,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의 교원양성과정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후 국내 ‘디지털 역량 함양 예비 교원양성을 위한 추진체계‘ 추진 배경,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디지털 역량 개념 및 교원양성과정 개편안을 살펴보면서,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의 교원양성과정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양국의 교원양성과정 사례 비교를 통해 양국 내에서 연구되고 있는 디지털 역량 개념 및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과정에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더욱 다양한 기관에서다양한 관점과 주제로 디지털 역량 관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디지털 역량 개념 자체에 대한 더욱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예비 교원의 비판적 성찰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and through a comparis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the digital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which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in Germany and South Korea in recent yea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cas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digital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Germany by examing the background of the Project ‘Digitalization of Teacher Education’, the concept of digital competence being discussed in Germany, and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being piloted in two universities.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cas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the digital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by examing the background of the ‘AI EDucation Alliance and Policy lab’, the concept of digital competence being discussed in South Korea, and the proposed reform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ase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two countries, it found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digital competency which is being studied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nhancing digital competency.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concludes that research on digital competence should be conducted in a wider range of institutions and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topics, that the concept of digital competence itself should be studied more in depth, an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the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 내 교원양성과정
Ⅲ.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국내 교원양성과정
Ⅳ.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과정 비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