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별주부전>의 교육적 체험을 위한 하이퍼픽션 구축 방안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yper-fic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 of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류수열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23집, 289~3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hyper-fiction for educational experience of Ryu, Su Yeol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inciple and method to construct hyper-fiction of Byuljubujeon, the narrative stemmed from Pansori which has very various version. After the appearance of hypertext, the majority of pedagogical interest has concentrated on its usefulness as teaching tools. It belongs to education engineering. But it is necessary to show interest in the change of condition of participation in literature. The pedagogical concern must spring to teaching object over teaching tools in literary education.Byuljubujeon(including Sugungga and Toggijeon) can be metamorphosed into hyper-fiction because it has so many various story line. It's very advantageous condition for learner who want to reading by his own choice. The reading based on digital system has advantage of reader's active and affirmative reading performance. Reading by his own choice can give readers enjoyment of game. In addition, hyper-fiction can empower readers to write. In reading hyper-fiction, the readers become wreaders(writer+reader). The wreaders can do the reconstruction of some scene and event, the composition of non-narrative genre for example journal, report, commendation phrase etc, the evaluation of characters by live poll.The educators have to bear in mind that the hyper-fiction program would not replace the reading experience. But it is sure that it would greatly enhance reading experience. The student could also extend his or her vocabulary and learn about history, folklore, art, and music. In other words, reading the novel must be the main task, media technology must step up and encourage reading performance.
목차
1. 로그인
2. 하이퍼픽션과 <별주부전> 이본군의 상동성
3. 단락별 스토리 라인의 구조화
4. 독자의 참여를 위한 교육적 배려
5. 로그아웃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판소리 단가에 나타난 신재효의 세계인식
- 명창 김이수의 생애와 예술
- 명창설화의 전승양상과 의미
- 지역 문화로서의 고창 판소리 발전 방향
- 지역 문화로서의 보성 판소리 발전 방향
- <춘향가>를 통해본 김소희 판소리의 음악적 지향
- 보성소리와 장재백 춘향가의 형성과정
- <별주부전>의 교육적 체험을 위한 하이퍼픽션 구축 방안 연구
- 발간사
- 보성소리의 판소리사적 위상
- 김소희 바디 <춘향가>의 성립과 변화양상
- <춘향전> 영역본의 고찰
- 판소리 <심청가>의 형성에 대한 재론
- 정응민 <수궁가> 중 초입 네 대목 연구
- 유파 개념 중고제와 악조 개념 중고제
- 장편화 방식을 통해 본 홍윤표 소장 154장본 <춘향전>의 성격
- 판소리 연행에서의 공간 침범과 轉位의 문제
- 명창 김여란의 판소리관과 예술세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