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복 여유량 산출을 통한 남성복 재킷 패턴 제도 공식의 정확성 검증
이용수 62
- 영문명
- Accuracy Verification of Men's Jacket Pattern Drafting Formula through Ease Allowance Calcul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인화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2호, 91~10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verify the size prediction accuracy of pattern drafting formulas through the trend line drawing for anthropometric data and ease allowances calculation. Methods: Pattern drafting formulas were investigated from 6 men's jacket textbooks. A scatter plot with the y-axis as the predictor variable and the x-axis as the input variable in each formula was created using Size Korea data. A trend line was drawn on the scatter plot to observe the change in ease allowance, and to determine the formula that showed the most accurate slope.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pattern drafting formulas supplementing problems of analyzed formulas. Results: For ‘armscye depth’, method A was confirmed to be most suitable, and a drafting formula using both chest circumference and height was recommended. For 'waist back length', method E showed the best result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the highest when the total length was used. For ‘side waist to hip length’, it was recommended to use direct measurements. For ‘back neck width/2’, it was found that using the neck circumference was appropriate. The ease allowance on ‘armscye width’ was excessively reduc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hest circumference since the flatness of the human body was not reflected in the drafting formulas. To remedy this problem, it was recommended to use both bi-shoulder length and back neck to ground length for ‘front width’, and use only bi-shoulder length for ‘back width’. Conclusion/Implications: Since the analyzed men's jacket pattern drafting textbooks did not reflect the actual change of Korean men's body size, a correction of drafting formulas using Size Korea data is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현실(VR) 상호작용성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가 이중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의복 여유량 산출을 통한 남성복 재킷 패턴 제도 공식의 정확성 검증
- 자주식 휠체어 사용자 관점의 편의점 접근성 실태 평가 및 접근성맵 제작
-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 체험용 업사이클링 DIY 키트 개발 : Subtraction Cutting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친구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대한 예측모형
- 시판 과채류 음료의 당 함량
- 취약계층의 디지털 바이오마커와 개인 행복의 관계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