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 체험용 업사이클링 DIY 키트 개발 : Subtraction Cutting을 중심으로
이용수 85
- 영문명
- Development of Upcycling DIY Kit for Sustainable Clothing Experience of Consumers: Focusing on the Subtraction Cutting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한옥희 최윤미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periential upcycling DIY kit using Subtraction Cutting, with the goal of promoting sustainable living for consumers during a time when environmental issu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Methods: As a theoretical study,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sustainable clothing and the design methods of Zero Waste fashion through previous studies. For the practical study, Subtraction Cutting is selected as a technique that can be easily applied by ordinary consumers. Six experiential upcycling clothing kits are developed, with two kits for each of the three main techniques. The participants use a mix of materials, including their own used clothing, waste sheets, and spare fabrics, for the project. Results: The clothing items, including women's sleeveless top, jacket, vest, and skirt are mixed and matched with various materials. This kit is intended for time-limited experiential events for the general public and is designed for simple production. The focus is on enhancing sustainability not only by recycling clothes but also by extending the life of garments through shape deformation, utilizing the features of the Subtraction Cutting desig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developed a clothing upcycling kit with enhanced sustainability, using Subtraction Cutting, that can be easily attempted by general consumers. The kit utilizes participants' used clothing, which could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implify the process and enable shape cha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현실(VR) 상호작용성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가 이중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
- 의복 여유량 산출을 통한 남성복 재킷 패턴 제도 공식의 정확성 검증
- 자주식 휠체어 사용자 관점의 편의점 접근성 실태 평가 및 접근성맵 제작
-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의생활 체험용 업사이클링 DIY 키트 개발 : Subtraction Cutting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친구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적용한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대한 예측모형
- 시판 과채류 음료의 당 함량
- 취약계층의 디지털 바이오마커와 개인 행복의 관계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