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Adults with Disability on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 Daily Living Ability as a Mediation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상용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2호, 75~10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일상생 활수행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2020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애 인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층화집락추출 방법으로 연구대상을 표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장애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사회참여 는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 학력, 등록장애유형, 결혼상태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난 반면 차별경험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서는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사회참 여와 하위변인 모두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인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사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이 높을수록 사회참여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높은 경우 사회참여를 더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성인 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사회참여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매개 역할을 하여 사회참여를 도 모하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s the effects of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adults with disability on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its route, it verifies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daily living ability. For this review, this study used data on the real state of the adults with disability collected in 2020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ata samples were made by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aily living 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adults with disability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ge, education, registered disability type, and marriage. Females show higher the daily living abi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than males. On the other ha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do not show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Second, discrimination experiences affect social participation. With a higher degree of discrimination, they show lower social participation. Also, with a higher the daily living ability, they do more social participation. Third, discrimination experiences of the adults with disability directly affect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e daily living ability as a mediation role indirectly affects the adults with disability trial of social particip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체장애성인의 생애주기별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교육⋅복지 욕구 분석
-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은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이용인과 활동지원사 FGI를 통한 장애인활동지원사업 만족도 및 요구도 탐색
- 장애인평생학습도시 사업 운영 현황 분석
- Th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South Korean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bou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 재활복지 제27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6권 목차
- Factors Asscoci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mong Runaway Youth
- 북한이탈주민 지체장애인의 남한 사회로의 삶의 여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1)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