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자의 소셜 로봇 사용경험 분석을 통한 주거복지 서비스 방향 연구
이용수 70
- 영문명
- Housing welfare service directions through social robot experience analysis of the elderly
- 발행기관
-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 저자명
- 오혜정 정주영 윤효진
- 간행물 정보
-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Vol.18 No.1, 31~4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ing social robots with housing welfare services provided to solve housing problem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 order to apply social robots to housing welfare services,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using social robots is derived using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For data collec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participants in Y-dong, S-si, who are using social robots by a smart city 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essential themes and 14 explored themes were derived. The five essential themes were 'Need for education', 'Difficulty in operating', 'Digital alienation', 'Friendly social robot', and 'Low utilization'. Based on the essential discussion of experience, it was suggested to intervene in public manpower for social robot management when using social robots in residential welfare services, to provide social robots with functions for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to clarify the target of social robo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고령자의 소셜 로봇 사용 경험 탐색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