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점의 음성적 실현에 나타난 영어 화자의 한국어 운율 체계 습득 양상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f the Prosodic Features of the English Learners of Korean Appeared on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Focu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성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0권 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examined interlanguage of English learners of Korean in terms of prosodic features. Six Korean sentences which included focused words were recorded two times by four inexperienced Korean language learner(IEs, 17.8 average months of Korea residence), four experienced Korean language learners(EEs, 6 average years of Korea residence), and four Korean native speakers(Ks). AP-initiation, dephrasing after the focused word, frequency of the pitch peak, the location of the pitch peak, and pitch range were investigated. A perception test also was performed over the IEs, EEs, and Ks. The results revealed that even though length of L2 experience played a great role in acquiring L2 prosodic system, both the IEs and E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Ks in terms of the location of the pitch peaks, AP-initiation, the rate of dephrasing, and speech range. Some features were traceable to prosodic features of the L1, namely English. The rest, however, seemed universal features of interlanguage in L2 prosody.
목차
1. 서론
2. 초점 산출 실험과 인식 실험을 통한 영어 화자의 한국어 운율 체계 분석
3. 초점 인식 실험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사 담화 기능의 문형 제시 연구
- 베트남 지역 한국어 현지화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 조사 습득에서의 오류와 원인 분석
- KAP 학습자를 위한 사고 기술 평가 방안
- A Study on the Students' Error Feedback Preferences According to roficiency Level
-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전공의 작문 과제 유형 조사 연구
- '-은/는 것이다' 구성의 표현 문형 설정과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문법 항목 ‘-(으)ㅂ시다’의 교재 기술과 사용 양상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어 쓰기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초점의 음성적 실현에 나타난 영어 화자의 한국어 운율 체계 습득 양상 연구
- 외국인의 한국어 거절 화행 실현에 대한 한국인의 수용 태도 연구
- 중앙아시아 3국의 한국어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