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소진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이용수 191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efficacy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for Childcare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사공옥희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4권 1호, 127~1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03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에서 심리적 소진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보육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직무환경, 감정노동, 직무만족도, 심리적 소진 그리고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제도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500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easurements were taken for work environment,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efficacy f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Secondly, a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Thirdly, a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Lastly,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lici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과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유년기 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서 부정적 자동적사고와 경험회피의 영향
- 문화예술교육이 성인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다차원적 완벽주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Military Personnel’s Social Relationships Analyzed by their Profiles of Behavioral, Emotional, and Cognitional Characteristics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4권 1호 목차
- 운전자의 의사소통 유무가 운전분노에 미치는 영향
- 교수역량 개발 방안 연구
- 학교 내에서 위(Wee)클래스 상담실의 역할과 과제
-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소진과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