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교육방송의 역할과 활용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Roles and Uses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3권 3호, 231~25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seek for the roles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It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n what type have EBS educational broadcasting program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been developed and what are its roles? Second, what is the method of effective uses of educational broadcasting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The research methods include: First, to examine the type of educational broadcasting through a bibliographical survey and the method of systematic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Second, to analyze EBS educational broadcasting programs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understand the type of the programs and the points of improvement. Third, to suggest the methods of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for the female married immigrants based on the bibliographical data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programs. As a result of this study, most of the educational broadcasting programs for the female married immigrants have been developed as direct teaching programs and as lecture programs on conversation, vocabulary and grammar. It suggested that producing systematic educational broadcasting and building connection between classroom studies and educational broadcasting as a method of efficient utiliz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교육방송의 유형과 특징
4. 교육방송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제언
5.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제언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연구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재 개발 연구
-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 한국어 교실의 수업 대화 분석
- 사고발화법을 이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전략 분석
- Korean for Beginners를 통해 본 해방 전의 조선어교육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교육방송의 역할과 활용
- 한국어 교육기관의 상담 체계 구축 방안 연구
- 벵골어 모어 화자에게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한국어와 벵골어 음운 체계 대조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수사의문문 교육 연구
- A Study on Non-nativ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cused on Filipino KFL teach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