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벵골어 모어 화자에게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한국어와 벵골어 음운 체계 대조 연구
이용수 15
- 영문명
- A contrastive study of phonological system between Korean and Bengali languages for effectiv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to Bengali native speaker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병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3권 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e to several reasons the number of Bengali native speakers learning Korean language is incr -easing. But contras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Bengali languages have been carried out scarcely. This study is planed to contrast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two languages. Phonological system is the first step to overcome when it comes to studying a foreign language. Korean and Bengali languages have comparably bilabial plosive sounds, alveolar plosive sounds, palatal affricate sounds, velar plosive sounds, guttural fricative sounds, alveolar fricative sounds, trill sounds, lateral sounds, and nasal sounds. Korean consonants of plosive and affricate sounds are classified as fortis/aspirated/lax consonants, but those of Bengali as voiced-aspirated/voiceless-aspirated/voiceless-unaspirated. Korean fortis consonants are similar to Bengali voiceless-unaspirated, and Korean aspirated consonants to Bengali voiceless-aspirated. Retroflex sounds are found in Bengali but not in Korean. Bengali does not have /ㅆ s’/ sound that Korean has. Korean has /ㄹ/ sound with /r/ and /l/ sounds as complementary allophone, but Bengali has /r/ and /l/ sounds as independent phonemes. Bengali has initial consonant group, but this is not found in Korean. For final consonants, Korean has implosive sounds, but Bengali has implosive or explosive sounds. In vowel system, both languages have /i, e, ɛ, a, o, u/ sounds. However, Korean has some sounds which are not used in Bengali, such as /ɨ, y, ø/. Korean has many diphthong sounds, but it is rare in Bengali. Both languages have syllable of CVC, with V, CV, VC, CVC. These languages have long and short sounds and have no stress, except emphasizing stress. The study on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two languages will be used with great importance when teaching Korean language to Bengali speakers.
목차
1. 서론
2. 한국어와 벵골어의 음운체계 대조
3. 벵골어 모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주안점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제언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연구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재 개발 연구
-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 한국어 교실의 수업 대화 분석
- 사고발화법을 이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전략 분석
- Korean for Beginners를 통해 본 해방 전의 조선어교육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교육방송의 역할과 활용
- 한국어 교육기관의 상담 체계 구축 방안 연구
- 벵골어 모어 화자에게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한국어와 벵골어 음운 체계 대조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수사의문문 교육 연구
- A Study on Non-nativ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cused on Filipino KFL teach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