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이용수 27
- 영문명
- Genre-based teaching approach for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나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3권 3호, 55~9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needs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KAP) are largely arising. In particular, writing of academic theses is commonly mention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 by KAP learners. Academic theses demand both highly complicated competence and rigidly-regulated academic literacy competence in its production. Accordingly, KAP learners are required to acquire academic thesis text genre-dependent characteristics. Despite these internal(textual) and external needs for explor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ademic thesis text genre has not been deeply analysed from text genre perspective enough to be suggested as guidelines for KAP.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how textual phenomenon appears specifically in the text purpose-stated discourse(TPSD) in academic theses. Furthermore, it is meant to suggest various learning activities from text genre-based perspective which was established by Callaghan and Rothery(1988). TPSD can be defined as discourse which is related to the text producer's own intention towards the whole text. In the academic thesis genre, unlike other text genres, TPSD appears both in introduction and in conclusion. Text genre-based perspective which can be acquired by text genre-based learning activities would encourage KAP learners to consider communication circumstances around academic theses and would help KAP learners eventually to produce appropriate TPSD for academic literacy.
목차
1. 서론
2. 학술논문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의 특징
3. 학문목적 학습자의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 분석
4.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텍스트생산 목적진술담화 교수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트남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발전방향 제언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육 연구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재 개발 연구
- 장르 기반 교수법(Genre-based teaching approach)에 근거한 학술논문 쓰기교육 방안
- 한국어 교실의 수업 대화 분석
- 사고발화법을 이용한 한국어 요약문 쓰기 전략 분석
- Korean for Beginners를 통해 본 해방 전의 조선어교육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교육방송의 역할과 활용
- 한국어 교육기관의 상담 체계 구축 방안 연구
- 벵골어 모어 화자에게 한국어를 효율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한국어와 벵골어 음운 체계 대조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수사의문문 교육 연구
- A Study on Non-native Teach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cused on Filipino KFL teach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