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Teachers’ Perception of Counselling.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서진숙 장미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4권 1호, 117~15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iversity and post-graduate Korean education programs and related fields teachers' reeducation courses are designed with the emphasis on the teacher's linguistic knowledge and improvement of their knowledge as a language instructor. However, as for the Korean teachers, they are not just required to have knowledge or teaching ability but they are also required to have personal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with learners or associate teachers. Also, for harmonious management of the classroom, teachers are also required to know how to form and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students. Therefore, Korean language institute teachers' self development and reeducation should include not just education resources and teaching methods but also information on how to control and care for students and how to create atmosphere. However, for a teacher to control students and create atmosphere, research on the effort requir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and on these types of difficulties and burdens are currently not taking place.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institutes' teachers' outsid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explores Korean teachers' perception of being in charge of counselling. Thus, gaining an understanding of the way in which Korean teachers' interact with students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the difficulties faced during this process and also depending on the level (beginner, intermediate, advanced) and teacher's teaching career explo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inally in order to resolve the difficulties for the Korean teachers in Korean institutes, there is a need for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database for counselling and counselling method etc with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Kyung Hee University·Kyung Hee Cyber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교사 발달과 상담
3. 연구 방법
4. 한국어 교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 연구
- 설명텍스트 분석 정보를 활용한 중급 단계 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 탄뎀 학습(Tandem learning)을 활용한 문화 교육 방안
- 다문화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제와 개선 방안
- 현대 베트남어의 ‘anh, chị, em’ 호칭과 한국어의 대응 표현 대조 연구
- ‘ㄹ’ 관련 음운변동 교육내용 분류와 초성 ‘ㄹ’ 관련 변동규칙 교수·학습 방안
- SLA에서 과제기반 연구의 최근 동향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보고표지 종결어미 ‘-래’, ‘-재’, ‘-냬’에 대한 문법 설명
- 재미 동포 미취학 아동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발달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