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면 피드백에 대한 현장 한국어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on written feedback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심윤진 안재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8권 1호, 141~17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beliefs and practices in written feedback. Two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1) teachers’ feedback on three compositions by elementary-level learners, and (2) a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written feedback to be important even though they had not enough opportunities to receive appropriate training. Lack of training brought about limited feedback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and inconsistency between their beliefs and practice. This study closes with the needs for teacher training and further studies on teachers’ feedback practices. (Yonsei University,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청소년 대상 한국어능력시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어/와 /오/에 대한 산출과 지각 상관성 연구
- 한국어능력시험(TOPIK) 쓰기 평가의 채점 특성 연구
- 중국인 학습자 비음 종성 /ㄴ/, /ㅇ/ 음절의 발음 오류 재고
- 한국어 통합 교재의 문법 예문 작성 원칙 연구
- 외국인 대학생이 작성 중인 학술 보고서에 나타난 諸 문제
- 재일 동포의 한국어에 대한 태도와 학습 동기 강도가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유형 분류와 연구 방법의 동향 분석
- 서면 피드백에 대한 현장 한국어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