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담화 차원의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거든(요)’의 화용적 기능 분석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Study of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for Korean grammar teaching on a discourse level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한하림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8권 2호, 209~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expressed in the discourse associating with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based on the actual conversations of Korean native speakers. As discours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text, contextual factors surrounding the discourse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order to reveal the function of grammar expressed in the discourse. Also, there is need to consider the grammatical functions in terms of the linguistic user which is the subject of interaction in the discourse. Based on this necess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As a result, ‘-ketun(y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shared context in communication contexts. The shared context is expanded through generative mutual knowledge and priori mutu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conversation analysis, ‘-ketun(yo)-’ was used at a high frequency in the expansion of generative mutual knowledge formation. In addition, ‘-ketun(yo)-’ appeared to have a discourse cohesion function that binds topics with other topics. In the case that ‘-ketun(yo)-’ is formed through priori mutual knowledge, ‘-ketun(yo)-’ could be used as a sign to lead the union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pragmatic functions of ‘-ketun(yo)-’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based on actual utterance. (Korea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고찰
3. 담화 차원에서 살펴본 ‘-거든(요)’의 화용적 기능
4. ‘-거든(요)’의 화용적 기능 교육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사의 매체 문식성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원어 연계 전략
- 담화 차원의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거든(요)’의 화용적 기능 분석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적 텍스트 구성의 수사적 전략 연구
- Proposing a Korean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tool using paraphrasing in learning
- 한・중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비교 분석
- ‘나다, 들다’의 연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안
- 해외 한국어 교사 한국 방문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구어 통사 복합도 간의 상관관계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한국인 모어 화자의 청각 인지 반응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