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e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in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Case Analysis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 저자명
- 채진
- 간행물 정보
- 『위기관리연구논총』제5권 제2호, 53~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재난은 과거에 비해 다양해지고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역주민의 재난에 대한 인식제고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 행정수요 증가로 이어지며, 재난안전관리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체계 역량 강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일본과 미국의 재난안전관리체계의 체계 및 리더십요인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체계의 인적역량 요인을 살펴보았다.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관리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분담하여 역량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disasters have diversified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the awareness of disasters by local residents leads to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administration for local governments,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disaster safety management is emphasized mo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local governmen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 system and leadership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human resource capacity factors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governme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limitations of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re overcome and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지자체 재난안전관리체계 해외 사례 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