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응시 현황 및 결과 분석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Achievement Test in the King Sejong Institute: Current Status of Applicants and their Performanc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혜 이선영 박진욱 노정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3호, 55~8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nguage Achievement tests of King Sejong Institute which have been carried out from 2014 to 2017. Language Achievement tests of King Sejong Institute has been developed since 2014, the test is operated in 99 institutes of 46 countries now (As of first half of 2017) When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 of evaluation for 4 year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nations enforcing the evaluation, institutes and examinees has continued its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valuation, the examinees from Asian regions take up majority but the recent proportion of European region is getting bigger gradually. In addition, only beginner level evaluation was carried out in the early stage but recently its range is expanded to the intermediate level. This Language Achievement tests of King Sejong Institute can be utilized very valuable data which can diagnose the present and future of oversea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levate public confidence a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est, this study suggested, first, increase the feedback effect of evaluation, second, establish the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of examinees along with the test scores, third, conduct the training for evaluator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fourth, seek to utilize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test. (Korea University⋅Korea University⋅Daegu Catholic University⋅Hansu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개발 연구 개괄
3.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응시 현황
4.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5.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응시 현황 및 결과 분석 연구
- 학문 목적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분석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초급 외국인 학습자와 계승어 학습자의 상호작용 비교 연구
- 자유 대화에서의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발화 속도 비교
- 한국어 용언 어절 재인에 미치는 어휘 변인의 영향
-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담화 능력’ 등급 기술을 위한 기초 연구
- 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내용 연구
- 대학보고서에 대한 외국인 학부 유학생과 교수자의 평가 양상 연구
- 재한중국인 가정 아동의 한국어 습득에 관한 연구
- PWIM 활용 한국어 초급 어휘교육
- 세종학당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