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 체험 프로그램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이용수 1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cused on Cultural Experience Program: Based on Domestic Foreign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안기정 권순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1권 4호, 109~1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needs of learners. The societal change caused by COVID-19 has led some to suggest online culture classes; however, learners continue to request cultural experiences. Considering that cultural experiences remain necessary, our goal is to create a cultural experience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le keeping COVID-19 in mind. In this paper, we recogniz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ly relies mainly on knowledge transfer and that cultural education and language education are being handled separately. Therefore, we propose a cultural education which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Accordingly, we must first move away from a paper-based study of culture and instead create cultural lessons that focus on actual experiences in order to allow learners to cultivate their ability to learn about and adapt to Korean cul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we created a textbook that allows learners to selectively progress through grammar,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activities. The experiential education plan for Korean culture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increase the learners’ motiva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le facilitat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3. 교재 개발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 초·중급 듣기 교육과정의 개발과 개선 방향
- 대면 / 비대면 PBL 한국어학 전공 강의 사례 연구
-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에 관한 혼합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 문어에 나타난 문맥 지시 양상 연구
- 한국어 교사의 교수실재감 인식
- 외국인 유학생의 회복 탄력성, 그릿, 한국어 학업 성취도의 관계성 연구
- 소셜미디어 해시태그로 본 ‘Learning Korean’
- 문화 체험 프로그램 중심의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등급별 명사-동사 연어의 심리언어학적 행동 반응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기준 설정 연구
- 한국어 차등 비교 표현의 교수-학습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