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categorical status of ess-ess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ategorical status of ess-es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Nam Ki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7권, 197~2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목차
1. The prototypical uses of the pluperfect
2. Remote past
3. Framepa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과 연계된 한국문화 소개 방안
- Korean Language Education - Past and Future
- 캐나다에서의 이중언어사용과 이중언어교육
- 외국인을 위한 한국 교육 방법
- 이탈리아에서의 한국어 교육
- Some problems in teaching Korean speech levels
- 일본어에 혼용된 도래어 (渡來語)
- Two Recent Research Initiativ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형용사의 사동형
-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읽기 교육 방안
- The categorical status of ess-ess
- 제1언어로서의 한국어과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중국에서의 조선어 이질화 현상
- 한국어 상징어의 음운론적 특성
- 생략 현상에 대하여
- Defining , Interpreting , and Teaching Korean Culture in the 21st Century
- 해외 동포 자녀들에 대한 모국어 교육 실태 조사 연구
- 언어 형식과 의미 확장: {밥}
- Teaching Hanja in Korean Language Courses
- 국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국어 문화론의 내용 구성 연구
- Teaching Korean Culture through Korean Studies: Creating Myths to Live By
- 일본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의 오용의 경향에 관하여
- Theory and Practice: Discrepancies in Supply and Deman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weden
- 한국어의 국제적인 이질화 현상과 전망
- 교재 구성에 있어서 과제 ( Task ) 개념의 적용에 관하여
- Pronom et Personne en Coreen et en Franqais
- The "unorthodox" category of number in Korean
- 시간의 변화를 통하여 본 베를린 훔볼트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 명사 {옷} 의 형식과 의미 확장
- 한국어 표준발음의 한 고찰
- A Cultural Perspective on Korean Language
- Korean Alphabet, World Alphabet
- Korean Language and Korea Unificat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