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e Suggestion Function’s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iscours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17권 3호, 185~20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expressed in practical conversation and I discussed the plan of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teach the communication function more effectively, we should make a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discourse. I also examined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contents, laying stress on the suggestion function, as one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function. The suggestion function is one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s which are frequent in everyday conversations. In the suggestion function I clarified how is the 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shown, and which forms of language are used, and I searched for the plans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the education contents should reflect the types of the conversation which is foll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ression of the suggestion and its purposes. The following constructions of the suggestion conversation are reflecting the contents: [suggestion] → [accepting a suggestion] / [suggestion] → [rejection of the suggestion] / [suggestion] → [accepting a part of the suggestion] / [suggestion] → [opposite suggestion] / [deriving of the suggestion] → [suggestion] → [a accepting suggestion].
목차
1. 연구개요
2.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제안 기능
3. 제안 기능 교육 내용 구성 방안
4. 연구결과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원어민 화자의 표현 형태 양상 조사 연구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학습 활동의 현황과 변천 과정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체감형 한국어교육콘텐츠 개발 및 구성
- 한국학 전공자를 위한 한국 사회․문화 교재 개발 방향
- 한국어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인터뷰 시험 담화에서 나타난 구어 문법적 오류 분석
- 담화 원리를 바탕으로 한 제안 기능 교육 내용 구성
- “한국어능력시험”과 일본 “<한글>능력검정시험” 초급 문제에 대한 비교 연구
- 외국어로서 한국어 문법에서의 새로운 문법 체계를 위하여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격과 목적격 조사 대치 오류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분석
- 신문 수업용 어휘 목록의 작성 방향
-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 Teaching Culture in the Advanced KFL Reading Class: Using an Information-Processing Approach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대한 대조 수사학적 연구
- 중국인 학습자언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종성에 대한 음향․청취 음성학적 오류분석
- 귀국학생 및 외국인 아동을 위한 일본어 교육 현황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