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of the Elements of Geometry in Secondary School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우정호 권석일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6권 1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중학교 평면 논증기하를 원론 교육적 입장에서 분석 고찰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Euclid 원론’에 따른 고전적 원론 교육을 목적, 내용, 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역사를 개관하였다. 이어 고전적 원론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고찰하고 Clairaut의 ‘기하학 원론’과 Branford의 역사-발생적 기하 교육론을 중심으로 역사-발생적 기하 원론 교육을 목적, 내용, 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과 근세 이후 기하교과서의 변천과정에 비추어 현재의 중학교 논증기하 교재의 기본가정을 분석하고, 그 내용 및 체제를 가설적 작도, 정리의 제시 순서, 증명진술 방법, 정의제시 방법, 연습문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현 중학교 기하교재의 기본적 관점을 탐색하고 두 원론의 상보적 통합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It is regarded as critical to analyse and re-appreciate Euclidean geometry for the sake of improving school geometry. This study, a critical analysis of demonstrative plane geometry in current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ith an eye to the viewpoints of'Elements of Geometry', is conducted with this purpose in mind. Firstly, the 'Elements'is analysed in terms of its educational purpose, concrete contents and approaching method, with a review of the history of its teaching. Secondly, the ‘Elémens de Géometrie'by Clairaut and the ‘histo-genetic approach'in teaching geometry, mainly the one proposed by Branford, are analysed. Thirdly, the basic assumption,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current textbooks taught in secondary schools are analysed according to the hypothetical construction, ordering and grou- ping of theorems, presentations of proofs, statements of definitions and exercises. The change of the development of contents over time is also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proportional relations of geometric figures. Lastly, the complementary way of integrating the two 'Elements'is explored.
목차
Ⅰ. 서론
Ⅱ. 고전적 원론 교육
Ⅲ. 역사-발생적 기하 원론 교육
Ⅳ. 원론 교육적 관점에서의 중학교 기하교재 분석
Ⅴ. 중학교 기하교재의 원론 교육적 재음미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