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허양원 김선유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5권 제2호, 337~35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량도형의 MTEBI 16개 문항을 수정하여 새롭게 구성된 15개 문항의 검사도구를 통하여 살펴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그들이 담임하고 있는 학급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수학교과에 대한 교사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상위집단의 학급이 하위집단의 학급보다 학업성취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수학교과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eaching methods among elementary school math teachers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in examinations. Results are based upon data from two elementary schools. The evaluation criteria of fifteen items was modified from Ryang's original MTEBI sixteen items to meas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th teaching efficac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eaching efficiency: higher teaching efficiency and lower teaching efficiency. A comparison of math tests taken by students from these groups demonstrate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Students with teachers in the lower efficiency group are likely to under-perform. In consequence, teachers' self-efficiency in math is considered to affect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n mathema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학적 사고 요소를 이용한 수학 교수 양식 분석틀 개발 및 적용 방안 연구
- 교사의 지식에 대한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 역동기하 환경에서 “끌기(dragging)”의 역할에 대한 고찰
- 수학과 대안평가로서의 면접평가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 자료 분석 및 개발 사례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
-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업성취 결과 분석
- 확률 개념을 위한 ‘가능성’의 지도
- 중학교 학생들의 시각적 예가 없는 기하문제해결과정 분석
-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에서 심리발생의 실험 결과가 나타내는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연구
- 학교수학 제15권 제2호 목차
- 초등수학분야 영재교육원의 교육내용 사례 비교 연구
- 예비교사교육에서 수학 교과 독서 활동 지도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