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족지학적 수학과 다문화적 수학교육
이용수 2
- 영문명
- Ethnomathematics and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Educational Discourses of Diversity and Its Implication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주미경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1권 제4호, 625~64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민족지학적 수학 연구의 개관에 기초하여 수학교육의 다문화적 접근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유럽의 학문적 수학과 다른 수학체계에 대한 인류학적 탐구에서 출발한 민족지학적 수학 연구는 수학 체계를 문화적 맥락 속에서 탐구함으로써 수학의 문화성에 대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수학의 문화성에 대한 조명은 전통적으로 유럽의 학문적 수학에 국한되었던 합법적 수학의 경계를 확장하고, 나아가 앎의 방식에서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하여 수학교육에서 다문화적 담론의 등장을 촉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민족지학적 수학 연구가 제공하는 다문화적 담론과 학교수학에서의 다문화적 접근 방안 및 다문화적인 학교수학의 실천을 위해 요구되는 교육적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ories about ethnomathematics to seek for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itiated by anthropological inquiries into mathematics outside of Europe, research of ethnomathematics has revealed the facets of mathematics as a historicocultural construct of a community. Specifically, it has been shown that mathematics is culturally relative knowledge system situated within a certain communal epistemological norms. This implies that indigenous mathematics, which had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primitive and marginal knowledge, is a historicocultural construct whose legitimacy is conferred by the system of the communal epistemological norms. The recognition of the cultural facets in mathematics has faciliated the reconsideration of what is legitimate mathematics, what is mathematical competence, and what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s all about. This paper inquires multicultral discourses of mathematics education that research of ethnomathematics provides and identifies its implications concerning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다문화 시대의 교육적 요구와 학교수학
Ⅱ. 다문화적 수학교육의 과제
Ⅲ. 다양한 수학 체계와 문화적 앎의 방식
Ⅳ. 학문적 수학의 문화성: 대화적 맥락에서의 창조
Ⅴ.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삶과 수학교육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이 있는 계산과 관련한 아동의 비형식적 지식에 대한 사례연구
- 상황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WQA)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류학적 방법에 입각한 수열의 극한 교수에 대하여
-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 영(0)이 초등학생들의 계산 수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맥락화를 통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곱셈 전략 발달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 수업 비평의 특징에 대한 연구
- 민족지학적 수학과 다문화적 수학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